Sonarqube
이전글에서 우분투환경에 소나큐브를 설치하는것을 알아보았었습니다 .
이번글에서는 도커로 소나큐브를 설치하는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https://beomseok95.tistory.com/199
Sonarqube - 1 (우분투에 설치하기)
Sonarqube 먼저 소나큐브를 설치하기 전에 소나큐브란 무었인지 에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소나큐브란 ? 소나큐브는 프로젝트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모니터링 툴을 제공하는 오슨소스 플랫폼..
beomseok95.tistory.com
도커로 설치하면 훨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.
먼저 도커가 깔려있어야겠죠 .
도커설치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( mac기준)
https://beomseok95.tistory.com/176
Docker 설치하기
도커 설치하기 (Mac OS) 1. 터미널창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도커를 다운받습니다. 도커의 클라이언트만 설치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brew install Docker 2.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아래 명령어로 제대로..
beomseok95.tistory.com
도커를 설치했다면 첫번째로
1 . 도커 허브 접속, 이미지 다운받기
도커 허브에 접속 한뒤 소나큐브를 검색해줍니다 .
맨위에있는 다운로드수가 10M인 소나큐브 공식 이미지를 클릭
우측에 보게되면 이미지를 받을수있는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.
docker pull sonarqube
그다음 터미널을 열고 명령어를 쳐줍니다 .
위명령어를 치면 자동으로 마지막 태그가 받아질겁니다 (lasest)
$ docker images
명령어로 확인해보겠습니다.
sonarqube 이미지가 받아진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.
2 . 도커 실행
$ docker run -d --name sonarqube -p 9000:9000 sonarqube
위명령어를 통하여 sonarqube container를 실행시킵니다 .
-d 옵션을 통해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,
-- name옵션으로 sonarqube라고 명명합니다 .
마지막으로 -p 옵션으로 포트를 설정해주면 끝
$ docker ps
명령으로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확인합니다.
sonarqube 컨테이너가 실행되고있는것을 확인했으니 ,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.
http://<본인의 ip>:9000/sonar 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습니다 .
초기 아이디 비밀번호는 admin admin입니다 .
이상으로 소나큐브 도커를 이용한 설치에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.
'CI , CD > Sonarqub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onarqube - 3 (Jenkins연동 ) (6) | 2019.06.18 |
---|---|
Sonarqube - 1 (우분투에 설치하기) (4) | 2019.06.16 |
댓글